최종편집일06.28 07:48
검색하기
인기mouGE학회

[제약/유통 > 제약]

동성제약, 내시경용 광원장치 제조 인증 획득

장석기 기자 / sciencemd@daum.net
승인 24-05-27 14:45 | 최종수정 24-05-28 05:18  
 

 

                                          ▲동성제약이 제조 인증 취득한 내시경용 광원 장치

 

동성제약(대표이사 이양구)이 한국의료기기 안전정보원으로부터 자체 개발 광과민제 포노젠과 ICG(Indocyanine green) 형광 제제를 활용한 광원 장치(모델명 LX-SL-100W)와 경성 복강경(모델명 LX-ES-PS-100VN)에 대해 제조 인증을 취득해 PDD 시스템을 구축했다.

 

27일 동성제약에 따르면 인증받은 내시경용 광원 장치(제인 24-282호)는 백색광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는 의료 영상처리 장치(제신 23-1128호)와 연결해 사용자가 의료 영상 처리 장치에 구성된 다이얼로 광량 조절이 가능하며 광량은 연결된 모니터에 표시된다.

  

그리고 경성 복강경(제인 24-490호)은 복강이나 후복막강 등의 관찰, 진단, 치료에 이용되는 의료기기이다. 해당 기기는 백색광 및 근적외선 광을 출력하는 내시경용 광원 장치(제인 23-5163호)와 연결해 복강 내 빛을 비춘다. 또한 메인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를 의료용 영상처리 장치(제신 23-1128호)를 통해 모니터에 전달해 영상이 연결된 메인 모니터에 표시된다.

 

더불어 좌측 및 우측 LED에 의해 빛을 비춰 서브 이미지 센서를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가 또 다른 의료용 영상처리 장치 (제신 23-1102호)를 통해 모니터에 전달되며, 영상이 연결된 좌측 및 우측 서브 모니터에 표시되는 방식이다.

 

이 형광 유도 일체형 파노라마 내시경 시스템은 파노라믹 뷰를 구현해 기존 대비 광범위한 시야(중심부 메인 시야각 120도, 좌측 및 우측 시야각 155도)를 제공함으로써 진단이나 수술시간을 개선한다.

 

동성제약 관계자는 “자체 개발 광민감제인 포노젠 뿐만 아니라 ICG(Indocyanine green) 형광 제제를 이용한 PDD(Photodynamic Diagnosis, 광역학 진단) 시스템을 완성하게 되어, 보다 다양한 임상시험이 가능해졌다."라고 밝혔다. 

 
 
Copyrightⓒ사이언스엠디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네티즌 의견(0)
내용 아이디 작성일
 
의견작성하기
 
 
이름 비밀번호
 
트라이나정5mg 등 후발약 최고가 등재
경동제약, 프리미엄 헬스케어 ‘위아바임’ 출시
제약 기사목록 보기
 
인기뉴스
차 여성의학연구소 서울역, 네..
흉부 CT 기반, 루게릭병 예후 ..
대구가톨릭대의료원 홍재우 교..
대한뇌전증학회 기자회견은 사..
초고령사회 대응 디지털 표준..
 
많이 본 포토뉴스
의정부을지대병원 ‘찾아가는 ..
하이로닉, 마스턴-EDC社 등과 ..
길리어드, 연세암병원과 항암..
"우루사' 대웅 임직원 참여 '..
 
최신 인기뉴스
제약기업 공익재단 사회공헌에..
호남에는 중증 뇌전증 환자를 ..
경남도․의료기관․..
아폴론, 글로벌 스타트업 액셀..
세종충북도박문제예방치유센터..